Linux/명령어

Linux 파일 압축 및 압축 해제: 압축 형식과 명령어

2023. 6. 16. 09:50
반응형

 

압축 형식 이해하기 Linux에서는 다양한 압축 형식을 지원합니다. 각 압축 형식은 특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파일을 압축하고 해제하는데 사용됩니다.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축 형식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:

 

  • Gzip: .gz 확장자를 가지며 gzip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.
  • Bzip2: .bz2 확장자를 가지며 bzip2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.
  • Zip: .zip 확장자를 가지며 zip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.
  • Tar: .tar 확장자를 가지며 파일을 단순히 묶는 역할을 합니다. 주로 다른 압축 형식과 함께 사용됩니다.
  1. 파일 압축하기 파일을 압축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Gzip:
$ gzip myfile.txt  # myfile.txt를 gzip 형식으로 압축합니다.
  • Bzip2:
$ bzip2 myfile.txt  # myfile.txt를 bzip2 형식으로 압축합니다.

Zip:

$ zip archive.zip myfile.txt  # myfile.txt를 archive.zip에 zip 형식으로 압축합니다.
  • Tar:
$ tar -cvf archive.tar myfile.txt  # myfile.txt를 archive.tar에 tar 형식으로 압축합니다.
  1. 압축 해제하기 압축된 파일을 해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Gzip:
$ gunzip myfile.txt.gz  # myfile.txt.gz를 압축 해제합니다.
  • Bzip2:
$ bunzip2 myfile.txt.bz2  # myfile.txt.bz2를 압축 해제합니다.
  • Zip:
$ unzip archive.zip  # archive.zip을 압축 해제합니다.
  • Tar:
$ tar -xvf archive.tar  # archive.tar을 압축 해제합니다.
반응형
저작자표시 비영리 (새창열림)

'Linux > 명령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 프로세스 관리: ps, top, kill 명령어  (0) 2023.07.12
특정 이름을 가진 프로세스 조회 종료  (0) 2023.07.10
리눅스 파일 권한 설정하기: chmod와 ACL소개  (0) 2023.06.15
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설정과 chmod 명령어  (0) 2023.06.14
chown과 chgrp 명령어를 활용한 소유자 및 그룹 관리  (0) 2023.06.14
'Linux/명령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Linux 프로세스 관리: ps, top, kill 명령어
  • 특정 이름을 가진 프로세스 조회 종료
  • 리눅스 파일 권한 설정하기: chmod와 ACL소개
  •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설정과 chmod 명령어
빡상이
빡상이
게임 및 개발 관련 일지 작성하는 블로그
빡상이
끄적끄적
빡상이
반응형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FrontEnd
      • Vue3
      • Nuxt
    • BackEnd
      • 로스트아크 Work
    • 백준(알고리즘)
    • Unreal Engine
    • 아크라시아 세카이
    • C++
    • 웹 개발 꿀팁
    • C#
    • Linux
      • 명령어
    • DB
      • SQL
      • Tibero
전체
오늘
어제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빡상이
Linux 파일 압축 및 압축 해제: 압축 형식과 명령어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개인정보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포럼
  • 로그인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