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리눅스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. 이 포스트에서는 두 가지 주요 도구인 **chmod**와 **ACL**을 사용하여 리눅스 파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 두 도구는 비슷한 맥락에서 작동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
chmod 명령어
chmod 명령어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. 다음은 chmod 명령어의 일반적인 구문입니다.
chmod [옵션] 모드 파일
[옵션]: 권한 변경에 대한 추가적인 옵션을 지정합니다.
- 모드: 권한을 설정하는 모드를 지정합니다. 보통 숫자로 표현되지만, 기호(+, ``, =)와 문자(r, w, x)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- 파일: 권한을 변경할 대상 파일의 경로를 지정합니다.
예를 들어, 다음 명령어는 "example.txt" 파일을 읽기 및 쓰기 가능한 권한을 가진 모든 사용자에게 열어줍니다.
chmod ugo+rw example.txt
ACL (Access Control List)
ACL은 추가적인 권한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입니다. 기본적으로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소유자, 그룹 및 기타 사용자에 대한 세 가지 권한만 제공합니다. 그러나 ACL을 사용하면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추가적인 권한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.
ACL을 사용하려면 파일 시스템이 ACL을 지원해야 합니다. 대부분의 최신 리눅스 배포판은 ACL을 지원하며, setfacl 명령어를 사용하여 ACL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setfacl [옵션] [사용자 또는 그룹]:권한 파일
[옵션]: ACL 설정에 대한 추가적인 옵션을 지정합니다.
- [사용자 또는 그룹]: 권한을 설정할 사용자 또는 그룹을 지정합니다.
- 권한: 설정할 권한을 지정합니다.
- 파일: ACL을 설정할 대상 파일의 경로
반응형
'Linux > 명령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특정 이름을 가진 프로세스 조회 종료 (0) | 2023.07.10 |
---|---|
Linux 파일 압축 및 압축 해제: 압축 형식과 명령어 (0) | 2023.06.16 |
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설정과 chmod 명령어 (0) | 2023.06.14 |
chown과 chgrp 명령어를 활용한 소유자 및 그룹 관리 (0) | 2023.06.14 |
리눅스 필수 기본 명령어 모음 (0) | 2023.06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