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리눅스 터미널에서 ifconfig를 사용하면, 현재 부여된 ip를 알 수 있습니다.. 이 ip는 고정 ip가 아닌 유동 IP이기 때문에, 추후에 같은 IP로 SSH접속을 할 경우 접속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에, 고정 IP로 바꿔주는 작업을 할 예정입니다.
※ifconfig 명령어가 사용되지 않는다면
#ifconfig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경우
yum install net-tools
설정
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(ens33)을 수정하기 위하여 수정해야 하는 파일이다
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명
cd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
ls
vi ifcfg-ens33 #vi로 파일을 열어 값을 수정해준다
변경점
설정 값 추가/수정 여부 상세
BOOTPROTO | none | 수정 | dhcp 면 ip 자동할당이기 때문에 none(고정)으로 변경하여 고정 IP로 사용합니다. |
IPADDR | 192.168.148.134 | 추가 | 고정으로 설정한 후 부여받은 IP를 지정합니다. |
PREFIX | 24 | 추가 | 넷 마스크 255.255.255.0의 나타내는 PREFIX 24를 설정. 환경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 환경에 맞게 설정해야 합니다. |
GATEWAY | 192.168.148.2 | 추가 |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역할 하는 특정 장비(공유기 등)의 IP를 의미합니다. 환경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 환경에 맞게 설정해야 합니다. |
DNS1 | 8.8.8.8 | 추가 | 각자 원하는 DNS를 설정하면 됩니다. |
ONBOOT | yes | 수정 | no 설정되어져 있을 경우 yes로 변경해야 합니다. no 이면 부팅 시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습니다. |
✅ TIPS GATEWAY 뒷자리 2를 쓴 이유는 1은 로컬이기 때문이다.
DNS 8.8.8.8은 구글의 DNS이며, 대형 DNS 서비스 업체들의 DNS를 쓸 경우 더 빠르게 동작하는 경우가 많다.
수정후
네트워크 재 시작
systemctl restart network #네트워크 재 시작 명령어
반응형